-
스크럼(Scrum) 이란?PM, PO 2025. 7. 1. 21:46
요즘 회사에서 스크럼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데일리는 아니고 주간 미팅으로 진행중이다.
스크럼(Scrum)이란?
스크럼은 복잡한 문제를 유연하고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애자일 프레임워크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짧은 개발 주기인 ’스프린트(Sprint)’를 반복하면서 제품을 조금씩 발전시키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완성도를 높여가는 방식이죠.
스크럼의 역사: 주요 이정표
1. 1986년 – 개념의 탄생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게재된 히로타카 타케우치(Hirotaka Takeuchi)와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의 논문 ‘The New New Product Development Game’에서 스크럼의 개념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이들은 제품 개발을 럭비 경기의 스크럼(scrum)에 비유하며, 전통적인 순차적 개발 방식보다 자율적이고 유연한 팀 기반 접근 방식을 강조했습니다.
2. 1993년 – 최초의 스크럼 팀 구현
제프 서덜랜드(Jeff Sutherland), 존 스컴니오탈레스(John Scumniotales), 제프 맥케나(Jeff McKenna)는 Easel Corporation에서 최초의 스크럼 팀을 구성하여 이 개념을 실질적으로 구현했습니다.
3. 1995년 – 공식 발표
켄 슈와버(Ken Schwaber)와 제프 서덜랜드는 OOPSLA(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시스템, 언어 및 응용 프로그램) 컨퍼런스에서 ‘The Scrum Development Process’라는 논문을 통해 스크럼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4. 2001년 – 애자일 선언
17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모여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Agile Manifesto)’을 발표했으며, 스크럼은 이 선언의 핵심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5. 2002년 – 스크럼 얼라이언스 설립
켄 슈와버는 스크럼 얼라이언스(Scrum Alliance)를 설립하여 스크럼 마스터 인증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6. 2009년 – 스크럼 가이드 초판 발간
켄 슈와버와 제프 서덜랜드는 스크럼의 공식 정의를 담은 ‘스크럼 가이드(Scrum Guide)’ 초판을 발간했습니다. 이 가이드는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최신 버전은 2020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스크럼의 발전과 영향
스크럼은 초기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중점을 두었지만, 현재는 마케팅, 교육,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 핵심 원칙인 자율성, 협업, 반복적 개선은 현대 조직의 민첩성과 혁신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크럼은 1986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논문에서 처음 소개됐습니다. 이후 1990년대 초반, 켄 슈와버(Ken Schwaber)와 제프 서덜랜드(Jeff Sutherland)가 구체화했고, 2001년 Agile 선언이 발표되면서 널리 알려졌습니다. 2009년에는 공식적인 ‘스크럼 가이드’가 최초 공개되어 현재까지 발전하고 있습니다.
스크럼의 기본 원칙
스크럼은 경험주의(empiricism)와 린 사고(lean thinking)를 기반으로 합니다.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이죠. 스크럼의 핵심 원칙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 투명성 (Transparency)
- 검사 (Inspection)
- 적응 (Adaptation)
스크럼의 주요 역할
스크럼은 세 가지 주요 역할이 존재합니다.
1.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품 백로그를 관리하고, 어떤 기능을 우선 개발할지 결정합니다.
2.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팀이 스크럼의 원칙과 방법을 잘 따를 수 있도록 지원하고,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3. 개발팀(Developers)
실제 제품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사람들로, 매 스프린트마다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합니다.
스크럼의 이벤트 (주요 활동)
스크럼에서는 아래의 이벤트들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스프린트(Sprint): 1개월 이하의 짧은 주기로, 실제 개발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 스프린트 계획 회의(Sprint Planning): 무엇을, 왜, 어떻게 만들지 계획을 세웁니다.
- 일일 스크럼(Daily Scrum): 매일 진행 상황을 공유하는 짧은 회의입니다.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이해관계자와 결과물을 검토하고 피드백을 받습니다.
-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 지난 스프린트를 돌아보며 개선점을 찾습니다.
스크럼의 아티팩트(산출물)
스크럼에서는 세 가지의 산출물을 중요하게 다룹니다.
-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 개발할 모든 항목과 기능이 우선순위별로 나열된 목록입니다.
-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 현재 스프린트에서 수행할 작업들의 목록입니다.
- 인크리먼트(Increment): 스프린트 끝에 완성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결과물입니다.
스크럼의 5가지 핵심 가치
스크럼 팀은 다음 5가지 가치를 바탕으로 일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 헌신 (Commitment)
- 집중 (Focus)
- 개방성 (Openness)
- 존중 (Respect)
- 용기 (Courage)
스크럼을 도입할 때의 장점과 고려 사항
스크럼을 도입하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크럼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려면 팀의 자율성과 협업 문화가 잘 자리 잡아야 하고, 초기에는 혼란을 겪을 수도 있으니 꾸준한 훈련과 연습이 중요합니다.
'PM, P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리피커(Cherry Picker)란 무엇일까? (3) 2025.07.24 유저 인터뷰 (0) 2025.07.06 B2C 웹/앱 데이터 분석 기법 및 이론 상세 정리 (1) 2025.06.30 PO라면 꼭 알아야 할 유저 인터뷰 가이드 (0) 2025.06.30 애자일 방식의 스프린트 운영 (0)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