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PRD 문서란?PM, PO 2025. 7. 24. 21:48
유튜브에서 PRD에 관한 영상을 본 후 prd 문서에 대해 한번 정리해보았다. PRD란?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는 제품이나 기능에 대한 목표, 기능, 사용자 흐름, 성공 기준 등을 정리한 문서입니다.PM, 개발, 디자인, QA, 마케팅 등 이해관계자가 무엇을 왜 만들지 명확히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공용 기준서로, 애자일 환경에서는 ‘살아있는 문서’로 초기엔 큰 틀 위주로 작성하고 단계적으로 상세화합니다. PRD가 왜 중요한가?정렬(alignment): 다양한 팀 간 공통된 비전과 목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범위 관리: 스코프 크리프를 방지하고 명확한 범위를 유지해줍니다협업 지원: 디자인·개발·QA 등 파트 간 원활한 소통을 이끕니다검증 기준 제공: KPI 기반 성공 ..
-
체리피커(Cherry Picker)란 무엇일까?PM, PO 2025. 7. 24. 17:35
최근 경제 뉴스나 마케팅 이야기에서 ‘체리피커’라는 용어를 자주 들을 수 있었다. 체리(cherry)와 픽(pick)이라는 단어를 합친 이 말은 어디에서 시작되어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싶어 이런 행동을 하지만, 체리피커라는 말에 담긴 뉘앙스를 이해하면 더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다.체리 피킹은 원래 과수원에서 가장 잘 익고 탱탱한 체리만 골라 따는 행위를 뜻했다. 잘 익은 체리만 따다 보면 그 과수원의 전체 열매가 모두 그렇게 맛있다고 착각하기 쉽다. 이렇게 일부만 취사선택하는 행동을 빗대어 체리 피킹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심리학에서는 특정 주장에 유리한 자료만 선택하고 불리한 자료는 배제하는 확증편향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이 표현이 변형돼 체리피커라는 ..
-
유저 인터뷰PM, PO 2025. 7. 6. 21:01
요즘 PO로써 일을하면서 PO 및 IT 스타트업에 관련 여러가지 책들을 읽고있다. 빅테크의 시작과 여러 스타트업의 주요 실패 요인중 하나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아닌 기업이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는것에 있었다.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어야겠다는 취지에 유저 인터뷰를 공부이며 현재 "유저 인터뷰 교과서" 라는 책을 읽으며 아래는 정리한 내용이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352693 유저 인터뷰 교과서 | 오쿠이즈미 나오코 - 교보문고유저 인터뷰 교과서 | 각종 디자인 프로젝트와 UX 리서치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인 사용자 인터뷰를 전문가 수준으로 할 수 있게 안내합니다!기업에서 각종 서비스 기획이나 디자인 프로젝트를product.ky..
-
스크럼(Scrum) 이란?PM, PO 2025. 7. 1. 21:46
요즘 회사에서 스크럼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데일리는 아니고 주간 미팅으로 진행중이다. 스크럼(Scrum)이란?스크럼은 복잡한 문제를 유연하고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애자일 프레임워크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짧은 개발 주기인 ’스프린트(Sprint)’를 반복하면서 제품을 조금씩 발전시키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완성도를 높여가는 방식이죠. 스크럼의 역사: 주요 이정표1. 1986년 – 개념의 탄생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게재된 히로타카 타케우치(Hirotaka Takeuchi)와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의 논문 ‘The New New Product Development Game’에서 스크럼의 개념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이들은 제품 개발을 럭비 경기의 스크럼(scrum)에 비유하며,..
-
B2C 웹/앱 데이터 분석 기법 및 이론 상세 정리PM, PO 2025. 6. 30. 23:18
요즘 서비스를 출시하고 나서 GA4 및 GTM를 사용하면서 데이터 분석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 기법 및 이론이 무엇이 있을지 조사해 보고 적용해보고 있다. 주요 데이터 분석 기법 및 이론 A/B 테스트 (A/B Testing) A/B 테스트는 웹사이트나 앱의 두 가지 이상 버전을 무작위로 나눈 사용자 그룹에게 노출하여 성과를 비교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요소만 변경하여 해당 요소의 성과를 명확히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서 기존 결제 버튼과 새 디자인의 버튼을 각각의 사용자 집단에 노출하고, 클릭률이나 구매율 같은 주요 성과 지표를 측정하여 더 나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에서는 Feature Flag나 서버 제어를 이용해 실시간으..
-
PO라면 꼭 알아야 할 유저 인터뷰 가이드PM, PO 2025. 6. 30. 23:14
요즘 PO로써 일을 하면서 책 및 영상으로 다양한 실패경험 및 빅테크 기업의 성공 사례를 접하고 있다. IT 스타트업의 주요 실패요인 중 하나는 유저가 원하는 서비스가 아닌 회사가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부분이다. 따라서 유저 인터뷰 및 피드백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하기에 어떤 기능을 개발해야 할지를 유저 인터뷰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고자 한다. 그 이유로 유저 인터뷰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다. 참조 고객(Reference Customer)이란?참조 고객은 제품 개발 초기부터 참여하여 실제 피드백을 제공하는 고객입니다. 제품 개선과 신규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참조 고객의 특징초기 단계 제품 사용자명확하고 구체적인 피드백 제공다른 고객에게 신뢰를 주는 사례 공유 가능 유저 인터뷰, 왜 중요한가..
-
애자일 방식의 스프린트 운영PM, PO 2025. 6. 30. 22:58
요즘 회사에서 애자일 방식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스프린트를 어떻게 운영해야하는지에 대해 공부중이다. 스프린트란?스프린트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1~4주(일반적으로 2주)의 반복 주기 내에 달성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일하는 애자일 방법론의 핵심 프로세스입니다. 스프린트 주기 설정 예시권장 주기: 2주권장 일정: 월요일 시작 ~ 다음 주 금요일 종료월요일 오전: 스프린트 계획 회의매일 오전: 데일리 스탠드업 미팅금요일 오후: 스프린트 리뷰 및 회고 📑 스프린트 실행 단계별 상세 프로세스1. 기획 및 분석 (스프린트 계획 직후)목표: 사용자 스토리를 세부 작업으로 구체화활동: - PO와 협력하여 사용자 스토리 명확화- 작업 세부화 및 우선순위 설정산출물:- 업데이트된 스프린트 백로그, 작업 목록 및..
-
[SQL][프로그래머스] 여러 기준으로 정렬하기Coding Test/SQL 2025. 3. 19. 20:06
문제 설명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생물 종,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 시 상태, 이름, 성별 및 중성화 여부를 나타냅니다.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모든 동물의 아이디와 이름, 보호 시작일을 이름 순으로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단, 이름이 같은 동물 중에서는 보호를 나중에 시작한 동물을 먼저 보여줘야 합니다. 예시예를 들어, ANIMAL_INS 테이블이 다음과 같다면 이름을 사전 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으며, 'Jewel', 'Rave..